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1

식품 - 02 식품과 물 안녕하세요? 오늘은 식품과 물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기억을 더듬는 형식으로 쭉쭉 써내려 갔기때문에체계적으로 글을 썼다기 보다는막 쑤셔넣는? 그런 느낌의 글일 것입니다^^ 다소 앞뒤가 맞지 않더라도 필요한 부분들만가져가시길 바라겠습니다!감사합니다! (시간을 아껴서 저의 본업인 반주법을 더욱 개발하겠습니다!) 글을 읽다보시면물에 대한 생각이 더욱 생길것 같습니다.^^ 식품에는 물이 항상 있을까요?물이 들어가지 않은 식품도 있을까요?물의 함량은 식품별로 어떻게 될까요? 네. 저는 저런 생각을 거의 안해봤습니다..ㅜ 그런데 이번에 식품과 물에 대하여 알아보며많은 것을 배웠습니다. 짧게 짧게 알아보며 지나갈텐데 여러분들도 많은 것을 얻어가길 바래요^^ 먼저 식품의 구성성분을 볼까요? 위에서 보듯 식품성분중 .. 2018. 3. 21.
예수사랑해요 피아노반주 - 40대피아노반주 중3피아노반주법 - C코드찬양곡 안녕하세요? 오늘은'예수사랑해요' 라는 곡을 감상해보겠습니다. 영상에 나오는 제자는 중학생이고반주를 처음 접하는 친구입니다. 스케일과 코드를 비롯해반주법스타일(4비트 등)을 몇개 가르쳤습니다.영상은 완전 기초적인 주법만 가지고 연주한 것입니다.그래도 편안하지 않나요?저는 너무 마음에 듭니다^^! 3번수업하고 이정도 실력까지 왔습니다.그중 1번은 OT처럼 했으니..실제로는 2번수업만에 반주법이 만들어진것입니다.짧은 기간만에 이렇게 되다니멋지지않나요? 많은 분들이 "피아노는 나와는 관계가 없는 악기야.."라고 생각하시는데전혀 아닙니다~ 피아노처럼 어려운 악기가 없지만피아노처럼 쉬운악기도 없습니다~ 우리에게는 엄청난 기교와 엄청난 테크닉이 필요한 것이 아닙니다.내게 주어진 환경속에서 반주를 할 수 있을 만큼의.. 2018. 3. 15.
[한국어교육과정론] 02강- 3. 이중언어, 공용어와 국제어 안녕하세요 오늘은 이중언어, 공용어, 국제어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려 합니다. 먼저 이중언어입니다.이중언어는 한 사람이 모국어 외의 언어를 구사하는 경우에 이중언어 사용자라고 말합니다.이는 제2언어를 모국어와 같이 유창하게 사용하는 사람들을 지칭하므로 모국어 외의 언어를 제2언어로 간주하여 말하는 경우입니다. 전문적, 학문적 관점에서는 '이중언어'를 'bilingual'과 'bilingualism'으로 구분합니다. 이중언어 사용에도 개념상의 차이가 있는데요? 습득 순서에 따라 보면 두 개의 언어를 동시에 습득하면'동시적 이중언어'라고 말하며, 한 언어를 습득한 다음에 다른 언어를 습득하게 되면 '연속적 이중언어'라고 말합니다. 그렇다면 '동시적 삼중언어'와 '연속적 삼중언어'도 있겠죠?제가 아는 동생(한국.. 2018. 3. 9.
[한국어교육과정론] 02강- 2. 외국어와 제2언어를 보는 객관적 관점 + 유창도/성과 정확도/성의 비교 + 목표어. 안녕하세요? 오늘은 저번시간에 이어서외국어와 제2언어를 알아보는데객관적 관점에서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 전에유창도/성과 정확도/성을 비교해 볼까요? 무슨 차이가 있을까요? 말하기 시험을 볼때는 유창성이 중요할까요 정확성이 중요할까요?네. 말하기에서는 의사소통이 중요하기에유창성이 더욱 중요합니다.의사소통이 목적일 때는 유창성이 중요하다는 것이죠. 반면 글쓰기와 같은 작문시험, 문법시험 등에서는 정확성이 더욱 중요한 것이죠. 자 그럼 다시 객관적관점으로 외국어와 제2언어를 알아보겠습니다. 앞의 글에서 각각의 의미를 설명했으니설명은 생략하고 예를 들어가며 글을 적겠습니다. 일본인(다른 나라 사람)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일본인이 한국이 아닌 곳에서 한국어를 배울때는외국어로서의 한국어일까요? 아니면 제2언어로서의.. 2018. 3.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