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1

[한국어교육과정론] 01강 01 교육과정의 개념 한국어 교육과정이란 무엇인가? 제일 처음 우리가 알아 볼 것은 교육과정의 개념이다. 교육과정의 개념을 알기위해서그 기원을 먼저 보기로 하자. 1.교육과정의 기원.교육과정은 언제부터 기원이 됐을까?Curriculum(교육과정)이라는 말은 1910년 Bobbbitt가 제일 처음 사용했다. Curriculum에 대한 강의를 시카고 대학에서 처음으로 개강했는데 그때가 1910년이였다.그리고 보비트는 1918년에 'The Curriculum'이라는 책을 집필했다. 'Curriculum'은 라틴어의 'currere'에서 유래된 말이다.쿠레레는 '달린다', '뛴다'라는 뜻으로 경마장의 경주로(a race course)와경주하는 그 자체(the race itself)에 해당하는 것이로활동의 장소나 활동의 연속을 의미한.. 2018. 3. 6.
한국어발음교육론 01 우리가 외국어를 배울때를 떠올려보자.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들도) 말하기와 읽기와 쓰기 등에는 많은 시간을 투자했다. 그러나 발음에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비율이 적다. 그리고 발음수업을 해도 배운 학생의 입장에서는 그날 수업은 아무것도 안배운것 같은 느낌이 든다. 왜그런걸까? 발음이 의사소통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는대도말이다. 읽을 줄 안다고해서 발음 습득이 끝난 것이 아니다.발음은 따로 습득하려 노력해야 한다. 2018. 3. 6.
블루스하모니카- 다이어토닉하모니카 안녕하세요 여러분~ 반주법등등은 자세하게 올리겠지만.. 하모니카는 대충 글을쓰나? 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쓸 수 도 있습니다ㅜ 그 이유인즉..아직 하모니카는 능숙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아마 1년? 뒤쯤부터다시 총 정리해서 깔끔하게 글을 쓸 생각입니다.제가 그냥 기억하려는 의미로 조금씩 기록을 하려합니다.실망은 하지마셔요!감사합니다^^ 블루스하모니카(다이어토닉하모니카)의 부는 기술중에 제일 기초는 Single주법 이라고합니다.한음씩 부르는 것인데테크닉이 들어가기전에는 무조건 한번에는 한음씩 내셔야 합니다.물론 복음하모니카를 말한건 아니고블루스 하모니카를 말한 것 입니다. 마실때는 '레 파 라 시'(저음부에 솔이 섞여있긴 합니다만..)내불때는 '도 미 솔' 의 소리가 납니다. 제일 아래의 음부터1.2.3.4.. 2018. 3. 5.
주부피아노반주법배우기 - 마음대로피아노연주3 안녕하세요 여러분? 마음대로피아노연주한 것을 3번째 올립니다. 가끔 신비한 소리들이 들리는데그것은 4도 화음을 쌓은 것인데요? 피아노 반주법을 배우면여러 애드립과 꾸밈음들을 배울 수 있습니다. 기초를 배우고 원한다면 바로 애드립과 꾸밈음을 배울 수 있죠. 여러분도 도전해보시는건 어떨까요? 50대인 학생도 쉽게쉽게 반주법을 배워나가며너무 만족해 하고 계십니다~ 여러분도 피아노 반주를 취미로 해보는 건 어떨까요?^^ 2018. 3.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