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교육8

[한국어교육과정론] 01강 02 교육과정의 모더니즘적 개념 지난번 한국어교육과정론 2-1에서학자에 따른 다양한 교육과정 개념을 보았으니 오늘은한국어교육과정론 2-2에서 '모더니즘적 교육과정 개념'들을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교육과정의 개념이 학자들의 관점에 따라 달라지듯이'모더니즘적 교육과정 개념'도 접근 방법과 관점에 따라 형태를 달리합니다.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1)교육내용으로서의 교육과정,2)학습계획으로서의 교육과정,3)학습경험으로서의 교육과정,4)학습결과로서의 교육과정,5)성취기준으로서의 교육과정에 대하여 그 개념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1)교육내용개념 : 일정 기간 동안 제공되는 교과목의 종류, 성격, 내용 등을 간단히 나열해서 기술한 것. 의미 : 학생의 입장에서는 학습해 나가야 할 과정이고, 교사의 입장에서는 학생에게 가르쳐야 할 교육내용의 체계를 .. 2018. 3. 6.
[한국어교육과정론] 01강 01 교육과정의 개념 한국어 교육과정이란 무엇인가? 제일 처음 우리가 알아 볼 것은 교육과정의 개념이다. 교육과정의 개념을 알기위해서그 기원을 먼저 보기로 하자. 1.교육과정의 기원.교육과정은 언제부터 기원이 됐을까?Curriculum(교육과정)이라는 말은 1910년 Bobbbitt가 제일 처음 사용했다. Curriculum에 대한 강의를 시카고 대학에서 처음으로 개강했는데 그때가 1910년이였다.그리고 보비트는 1918년에 'The Curriculum'이라는 책을 집필했다. 'Curriculum'은 라틴어의 'currere'에서 유래된 말이다.쿠레레는 '달린다', '뛴다'라는 뜻으로 경마장의 경주로(a race course)와경주하는 그 자체(the race itself)에 해당하는 것이로활동의 장소나 활동의 연속을 의미한.. 2018. 3. 6.
한국어발음교육론 01 우리가 외국어를 배울때를 떠올려보자.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들도) 말하기와 읽기와 쓰기 등에는 많은 시간을 투자했다. 그러나 발음에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비율이 적다. 그리고 발음수업을 해도 배운 학생의 입장에서는 그날 수업은 아무것도 안배운것 같은 느낌이 든다. 왜그런걸까? 발음이 의사소통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는대도말이다. 읽을 줄 안다고해서 발음 습득이 끝난 것이 아니다.발음은 따로 습득하려 노력해야 한다. 2018. 3. 6.
[한국어 교육 과정] 안녕하세요 여러분?방금 가방소개를 쓰고.. 바로 다른 글을 올리네요^^ 여러분교육과정이 먼저일까요교육이 먼저일까요? 네 그렇습니다.통상적으로는교육과정을 먼저 만들고교육과정에 따라 교육을 합니다. 그러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은현장에서 교육을 먼저 시작하고교육과정을 후에 만들었는데요?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과정'을2010년2011년2016년2017년국가 기관에서 실시했습니다.2010~2016까지는 국립국어원에 실려있지만2017년 보완 수정 버전은 아직 실려있지 않습니다.곧 올라오겠죠? 현재까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과정' 교육을 위해만들어진 교재는.. 있긴하나 딱히 쓸만한 것은 없다고 합니다.그래서 통상적으로영어교육과정론 + 한국어교육 강의안즉. 일반적인 교육과정론 + 한국어교육으로 업그레이드 시켜서.. 2018. 3. 2.